python 79

[python] Dict Comprehension

''' dict comprehension 1. dict + for문 결합 변수 ={ k:v for k,v in dict.items()} 2. dict + for문 결합 변수 ={ k:v for k,v in dict.items() if 조건식} 3. dict + for문 + 3항연산자 변수 ={ 표현식 if 조건식 else 표현식 for k,v in dict.items()} ''' #1. dict + for문 결합 m = {"name":"홍길동","age":20,"address":"서울"} result={k:v for k,v in m.items()} print(result) result={v:k for k,v in m.items()} print(result) # dict + for문 결합 + 단일 if문 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List Comprehension

간단한 반복문을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리스트를 만들 수 있음 매우 중요하니 잘 기억해두도록 하자 ''' 변수 = [표현식 for 변수 in 리스트] 2. 리스트 + for문 결합 + 단일 if 문 변수 = [표현식 for 변수 in 리스트 if 조건식] 3. 리스트 + for문 결합 + if~else 문 (3항 연산자) 변수 = [참 if문 else 거짓 for문 ] ''' # 1. 리스트 + for문 결합 result = [v for v in range(5)] result=[v+1 for v in range(5)] result=[[v] for v in range(5)] result=[[v,v+1,v+3] for v in range(5)] #2. 리스트 + for문 결합 + 단일 if 문 result=[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반복문 for문 | break | continue | while

-단순 for 문 일정 횟수를 반복해야 할 때 사용한다. ''' 제어문(반복문) 1. for 문 for 변수 in 집합형: #집합형 갯수 만큼 반복 문장 가. 일정 횟수 반복 용도 ==>range() 함수 이용해서 반복 가능 나. 집합형 데이터를 조회용 반복 2. while문 ''' #for i in "hello": #for i in [1,2,3,4,5] #for i in (10,20,30,40,50) for i in range(5): print("hello") print(range(10))#range(0, 10) print(list(range(10)))#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#range(start,stop[,step]) for x in range(1,6): print(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조건문 단일 if 문 | if~else문 | 다중 if 문 | 3항연산자

''' 1.제어문 가. 단일 if 문 ==>조건이 true인 경우에만 실행 문장1 #명시적인 True/False가 아니고 논리값이 나올 수 있는 연산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#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멤버쉽연산자, is None,isinstance() if 조건식: 문장2 문장3 문장4 ''' num=3 print("1") #if True: #if num > 4: #if num > 4 or num ==3: #if "hello" #if [10]: 리스트에 값이 존재하면 True 아니면 False print("1") print("2") print("3") print("4","end") print("1") if True: # 명시적인 True/False가 아니고 논리값이 나올 수 있는 연산자 사용하는 것이 일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셋 | 딕셔너리

''' 집합형 set 4. set -표현 :{값1,값2,...} set(iterable) - 타입 type([10,20]) ==> ==> 셋은 클래스로 만들어짐 -특징: 순서 없고 중복 불가, 저장되는 값은 immutable 해야한다. 따라서 리스트는 저장 불가 #. 집합 연산 함수 제공 (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) -intersection(교집합) -difference(차집합) -union(합집합) -함수 정리 print(dir(set)) ''' print(dir(set)) ''' '__and__', '__class__', '__contains__', '__delattr__', '__dir__', '__doc__', '__eq__', '__format__', '__ge__', '__getattribut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튜플 | 튜플 색인

''' 집합형 3. 튜플 -표현 (값1,값2,...),tuple(iterable) 값 하나의 튜플 표현식:(값,) 튜플은 클래스로 만들어짐 클래스 구성요소(변수,함수) -특징: 순서 있고, 중복허용, 값 변경 불가 ''' print(dir(tuple)) ''' '__add__', '__class__', '__contains__', '__delattr__', '__dir__', '__doc__', '__eq__', '__format__', '__ge__', '__getattribute__', '__getitem__', '__getnewargs__', '__gt__', '__hash__', '__init__', '__init_subclass__', '__iter__', '__le__', '__len__', 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리스트 | 리스트 색인

리스트 개요 -대괄호 [] 사용하며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가능 -순서가 있고 중복 허용 가능 -데이터 변경 가능한 mutable 한 특징 -문자열과 동일한 인덱싱과 슬라이싱 사용 가능 ''' 집합형 2. 리스트 - 표현 [값1, 값2,...] - 타입 type([10,20]) ==> ==> 리스트는 클래스로 만들어짐 - 특징: 순서 있고 중복 허용, 값 변경 가능 - 함수 정리 print(dir(list)) 'append', 'clear', 'copy', 'count', 'extend', 'index', 'insert', 'pop', 'remove', 'reverse', 'sort' ''' #1. 리스트 설정 방법 str_list =["홍길동","이순신"] int_list = [10,20,30,20] 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함수 개념

''' 함수 기본 개념 ''' print("1") def fun(): # 헤더 print("fun") # body return "aa" # foot m = fun() print(m) n = fun() print(n) print(fun()) n = int("10") print(n) print(int("10")) print("end") print("1") def fun(n): # 헤더 print("fun",n) # body return "aa" # foot m = fun(10) print(m) n = fun("hello") print(n) print(fun([10,20])) print("end") parameter를 받아들임 ''' 함수 기본 개념 # 문자열 연결하는 함수 ''' def str_conncat..

python 2022.09.22

[python] 집합형 - 문자열(인덱싱과 슬라이싱)

''' 부분열 구하기 -5 -4 -3 -2 -1 ( 역방향 ) H e l l o 0 1 2 3 4 ( 순방향 ) ''' s="hello" #1. 인덱싱 -> 문자 하나 색인 #순방향 인덱싱 print(s[0]) print(s[1]) print(s[2]) print(s[3]) print(s[4]) #역방향 인덱싱 print(s[-1]) print(s[-2]) print(s[-3]) print(s[-4]) print(s[-5]) s="hello" #1. 인덱싱 -> 문자 하나 색인 #2. 슬라이싱 -> 범위로 지정 여러 개 색인 # 순방향 print(s[0:3]) #s[start:end] end-1까지 나옴 print(s[2:4]) print(s[:4]) print(s[2:]) print(s[:]) # 역방..

python 2022.09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