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일반형
#값을 변수에 저장하고 출력
num=10
print("정수: 양의정수",num,id(num))
print("정수: 음의정수",-num)
num2=3.14
print("실수:",num2)
bool_value=True
print("논리:",bool_value)
none_value=None
print("None:",none_value) #null의 의미
2. 집합형
name='홍길동'
name="홍길동2"
name='''홍길동3'''
name="""홍길동4"""
print("문자열", name)
list_value=[10,20,30,20,10]
print("리스트",list_value)
tuple_value=(10,20,30,20,10)
print("튜플",tuple_value)
set_value={10,20,30,20,10}
print("셋",set_value)
dict_value={"name":"홍길동","age":20,"phone":["010","011"]}
print("딕셔너리",dict_value)
3. 동시 할당
'''
동시할당
1. 하나의 값을 여러 변수에 동시에 저장
변수1 = 변수2 = 변수3 = 값
2. 여러 개의 다른 값을 여러 변수에 할당
변수명1, 변수명2 = 값1, 값2
반드시 개수 일치!
'''
#1. 하나의 값을 여러 변수에 동시에 저장
num=num2=num3=100
print(num)
print(num2)
print(num3)
num=num2=num3=[10,20,30]
print(num)
print(num2)
print(num3)
#2. 여러 개의 다른 값을 여러 변수에 할당(**********)
x,y=100,200
print(x,y)
x,y=100,[10,20,30]
print(x,y)
#변수 2개, 값은 1개==> 에러
#x,y=100
#print(x,y)
#변수 1개, 값 여러 개
x=10,20,30
print(x) #tuple로 반환
#dummy variable
#100,200,300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100하고 200만 필요한 경우 가정
x,y,_=100,200,300
print(x,y)
4-1. 타입 체크 type() 함수 사용
'''
변수에 지정된 데이터의 종류 알아보기
'''
#1. 기본형 데이터의 타입 알아보기
int_value=10
float_value=3.14
bool_value=True
def func():
pass
func_value=func
none_value=None
print("int_value",int_value,type(int_value))#<class 'int'>
print("float_value",float_value,type(float_value))#<class 'float'>
print("bool_value",bool_value,type(bool_value))#<class 'bool'>
print("func_value",func_value,type(func_value))#<class 'function'
print("none_value",none_value,type(none_value))#<class 'NoneType'>
#2. 집합형
str_value="Hello"
list_value=[10,20]
tuple_value=(10,20)
set_value={10,20}
dict_value={"name":"홍길동","age":20}
print("str_value",str_value,type(str_value))#<class 'str'>
print("list_value",list_value,type(list_value))#<class 'list'>
print("tuple_value",tuple_value,type(tuple_value))#<class 'tuple'>
print("set_value",set_value,type(set_value))#<class 'set'
print("dict_value",dict_value,type(dict_value))#<class 'dict'>
# 하나의 값을 가지는 tuple 작성법
x=(10)
x2=(10,)
print(x,type(x))
print(x2,type(x2))
4-2. 타입체크 isinstance() 함수 활용
'''
변수에 저장된 데이터의 타입 비교
'''
#1. 기본형 데이터의 타입 알아보기
int_value=10
float_value=3.14
bool_value=True
none_value=None
print("int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int가 맞아?",isinstance(int_value,int))#True
print("int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str가 맞아?",isinstance(int_value,str))#False
#print("none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None가 맞아?",isinstance(none_value,None))#False
#null 은 isinstance로 비교하지 않음
print("none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None가 맞아?",none_value is None)#True
# 2. 집합형 데이터의 타입 알아보기
str_value="Hello"
list_value=[10,20]
tuple_value=(10,20)
set_value={10,20}
dict_value={"name":"홍길동","age":20}
print("str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str가 맞아?",isinstance(str_value,str))#True
print("list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list가 맞아?",isinstance(list_value,list))#True
print("tuple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tuple가 맞아?",isinstance(tuple_value,tuple))#True
print("set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set가 맞아?",isinstance(set_value,set))#True
print("dict_value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타입이 dict가 맞아?",isinstance(dict_value,dict))#True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dir(데이터 타입) 모음 (0) | 2022.09.19 |
---|---|
[python] 표준출력 및 표준입력 (0) | 2022.09.19 |
[python] 빌트인 객체 모음 (0) | 2022.09.19 |
[python] 주석문 | 이스케이프 문자 | 예약어 (0) | 2022.09.19 |
[python] python 자료형의 종류 (0) | 2022.09.19 |